![[1]D11012-500a.jpg](../prodFiles/49ae0HI28gB36cGCj7JFkEfA5hid1DKb.jpg)
제품설명
?
◈ 개 요 ( ELEVATOR FURNACE / BOTTOM LOADING FURNACE )
?
피열물이 놓이는 로 판부분이 상승 하강하는 구조가 특징이며 , 발열체 및 爐 내의 단열 내화물에 대한 열충격이
매우 적기 때문에 2100 ° C 까지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.
특히 , 로 내벽 사면 ( 4 ) 또는 피열물 사이로 발열체를 설치하는 방식 ( 밭 田 형식 ) 이 가능하여 뛰어난 온도분포를
가질수 있어 신소재 및 특수 재료의 소성 ( 燒 成 ) 및 소 (燒 結 ) 등에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, 현재 국내 세라믹
업계에서 양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.
아울러 본 형식의 전기로는 爐 하부 및 상부등을 이중 Case 로 제작 Sealing 하여 질소나 Argon 등 불활성 분위기에서
사용이 가능 하도록 제작 될수 있으므로 , 분위기 조성이 필요한 제품의 열처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.
?
◈ 온도에 따른 ELEVATOR 형 爐의 분류
?
◆ 1200 °C 이하
금속 ( 합금 ) 발열체인 Ni-Cr 및 Fe-Cr 발열체를 사용하며 사용온도가 600 °C 부터 900 °C 까지는 Box 형 로와
마찬가지로 합금 발열선이 매장된 Molding 형 발열체를 사용하고 900 °C 부터 1100 ˚ C 까지는 발열체가 노출된
비 매몰형을 이용한다.
?
특히 Fe-Cr Wire 가 Quartz Glass Tube 내에 장착된 봉형의 발열체를 사용할 경우 발열체 설치 위치를 다양한 형태로
설계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?
아울러 실제 사용온도가 1150 ˚ C 이상 1300 ° C 경우 Kanthal APM Wire 발열체를 Mullite 보호관 주위로 감고 봉 형과
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Quartz Glass Tube 발열체와 마찬가지로 고온에서 다양한 형태의 발열 위치를 설계하여
Electric Furnace 만이 가질수 있는 爐 내부의 온도 편차의 최소화를 실현 시킬수 있다.
?
◆ 1500 °C
?발열체로는 탄화 규소 ( Silicon Carbide ) 를 사용하고 발열체 구조는 爐 내벽 4측에 상하 수평으로 설치 할수도 잇으며,
온도 정밀도에 따라 밭 전 ( 田 ) 자 형식의 설치 방법을 이용해 적재 되어 있는 피 열물 전체에 열을 가할수 있는 장점이
있다. 爐 설계에 따라 온도 편차가 좌우되며 , 탄화규소 발열체의 특성상 1400 ° C 부근에서 사용되어 진다.
?
내화물은 실험용인 경우 Ceramic Fiber Board를 3겹 ( 1600 40t , 1400 25t , 1200 25t ) 축로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
준 양산용 ( Pilot ) 및 양산용 ( Production ) 인 경우 온도의 특성에 따라 내화연와 ( Refractory Brick ) 및
내화보드 ( 이 경우 최소 175 mm 정도의 내화물 두께를 유지 하여야 함 )를 사용한다.
?
1500 °C Elevator Furnace 는 불활성 분위기 가스 ( 특히 질소치환 또는 산소 )의 사용에 주로 쓰이며, 이경우
Bottom Loading car 와 爐 하부 구조에 Gas Tight Sealing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, 사용온도에 따라
냉각 장치도 부가 장착하여야 한다.
?
◆ 1700 ° C ~ 1800 ° C ELEVATOR FURNACE
발열체로는 MoSi₂ ( 이 규화몰리브덴 ) 를 사용하고 발열체의 구조는 양 측벽에 수직 설치를 기본으로 한다.
실제 사용온도에 따라 발열체 및 내화물의 종류가 결정되며, 내부 규격에 따라 보통 ± 5 ˚C에서 ± 10 ° C 까지의
온도 편차가 발생 할 수 있다.
고온용 Elevator Furnace 의 가장 큰 취약점은 상부 내화물 구조에 있으며 爐 내부 규격이 적은 ( 200mm 이하 )
실험용인 경우를 제외 하고는 Slice ( 내화 보드를 잘게 가공해 설치하는 방법 ) 축로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,
전기로 제작업체 마다 내화물 축로 방식 및 고정용 ceramic pin 의 설치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
보편적으로 爐의 규격이 0.5m³ 인 경우 상부 내화물은 150mm 간격으로 내화재를 Slice 하고 ceramic pin 또는
사파이어 핀으로 고정 보완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.
아울러 爐 하부구조는 최소 3단 이상의 겹층으로 설계하여 Loading Car에 설치 되어있는 내화물과의 틈새를
단계별로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.
?
?
항 목 | 내 용 |
? ? ? 전기로 바디 및 프레임 | - 이중 CASE CHAMBER 방식 - 각 Pipe 100 * 100 * 4.5T - 외부 41C 분체 도장 - 머플 제작 STS # 304 6T * 5 * 10' - 아지데이터 FAN System? - Gas Flow Meter |
내 장 재 | - ceramic board, ceramic mold, ceramic brick |
히 터 | - Kanthal A1 1.5 * 15 * 250 * 2000 |
? ? 전기 판넬 | - 전압, 전류계 , 누전차단기, 과열방지 - Program control ( P. I. D. ) 방식 - YOGOGAWA UT-35A , Thyrister? |
? ? 구동 방식 | - Elevator 방식 - 대차 UP - DOWN , 모터 ( DWVM ) Breaker type - 대차 전, 후진 모터 ( DWVM ) Breaker type - 열처리 연마봉 , Ball Screw ETC . |
??
항 목 | 내 용 |
Type | Elevator type 3 zone heating control system 운반 하중 : 50Kg ~ 고객 요구사항 |
Electric Power | AC 380V , 60Hz/50Hz , 3 Phase |
Wattage consumption | 60KW / Approx ( 고객 사양 ) |
Furnace in size | 1,000(W) x 1,500 ( D) x 500 (H) |
Out size | 2,100(W) x 2,300 (D) x 2,120 (H) mm / Approx |
Temperature | 700 ℃ |
Heating up Time(5℃/min) | 2 ~3 hr / 475 ~ 500 ℃ & Keeping Time : 1hr ~ 72 hr |
Materials | ◈ Interior Wall a) Brick LBK - 28 SIC (ISOLITE) ------ Top plate b) Cerakwool K-model T/#5440 HZ --- 1430 ℃ c) Ceramic board -------------------- 1260 ℃ d) Ceramic wool --------------------- Final insulation ? ? ◈ Exterior walls a) SS #41 Plate 1.5t ( Case ) Epoxy coating b) SS # 41 Plate 4.0t ( Base ) Epoxy coating |
Temperature control system | YOKOGAWA UP35A digital type Communicating one zone P I D Programing control console 10 segment / 2 pattern programmable temperature control provided |
Heating control system | Includes S C R with built-in ammeter and 4 ~ 20mA current limit adjustment |
Heating element | Molding heater Type |
Door loading | UP - DOWN system ( Geared motor type & Limit switch ) |
Top plate | Liner - Motion Bearing Wagon door Type |
Temperature recoder | YOKOGAWA SR-1000 100mm Chart , 6 point type ( 전기로 내부 온도 기록 6 point ) |
Safety Apparatus | Ov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Main power of the NFB switch Volt meter and Amper meter |